瑤 池 鏡 / 요 지 경 / Jade Pool Mirror / The Nonplussed State of Things - Artist’s Notes
I.
내가 예상하는 어제의 세상, 내가 잘 모르는 오늘의 세상, 그리고 내가 기억하는 내일의 세상. 세상에 물들지 않으려고 애써 강남에서 겸손하려고 하지만, 산 밖에 난 범이고 물 밖에 난 고기다. 이런 세상 속에서 너는 나만을 기다리고, 나는 너만을 기다리고, 그들은 우리만을 기다린다. 굳어버린 서로에게 친구가 아니어도 새삼 밝게 웃어주면서, 어머니에겐 차가운 눈빛을 보낸다. 세상은 어제와 같고 어제는 비가 내렸다. 바다는 비에 젖지 못해 육중한 비늘을 무겁게 뒤척이면서 숨을 쉬고, 가장 진하게 푸르다. 파란 하늘, 파란 땅, 빨간 상놈, 빨간 양반.
II.
푸른색과 붉은색, 붉은색과 유백색, 유백색과 흑색, 흑색과 푸른색. 만개화와 요새, 사랑과 증오, 빛과 어둠, 흰색과 붉은색. 물과 피, 물과 죽음, 죽음과 시간, 시간과 영원, 과거와 미래. 붉은색과 녹색, 생명과 파괴, 삶과 영원, 삶과 죽음. 푸른색과 녹색, 하늘과 땅, 바다와 산, 해와 달, 진리와 거짓, 선과 악.
III.
선(善)보다 아름다운 것이 없고 악(惡)보다 추한 것이 없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선’을 ‘재미없는, 개성 없는’ 것으로 만들고, ‘악’을 ‘재미있고, 매력 있는’ 것으로 만들어 사람들을 속인다. 그래서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예쁨이나 멋이 자주 아름다움과 혼동된다. 눈으로만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름답지 않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흑과 백으로 이분되어 있다. 도덕적으로의 회색은 존재하지 않는다. 기준은 늘 똑같기 마련인데, 어떤 상황에 따라 기준이 흔들린다면 거짓이 된다.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열린 마음’이나 ‘열린 생각’으로 접근하는데, 안타깝게도 그것은 쉽게 거짓을 용인하는 행위가 된다고 생각한다. 기준을 타협하기 시작하면 인생의 방향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기준을 하나씩 타협한다는 것은 이를테면, 자동차로 이동하면서 바깥으로 보이는 건물과 나무, 모든 사물이 하나씩 제자리에 있지 않고 움직이기 시작하는 현상이랄까? 그렇다면 자동차 안에서 실제로 이동하는 사람은 더이상 자신이 움직이고 있는지 모르게 된다. 기준이 흔들렸으니까.
우리는 해를 쳐다볼 수 없다. 하지만 해 없이는 아무것도 안 보인다. 그런 면에서 진실은 마치 해와 같다. 우리는 진실을 완전히 이해하고 깨달을 수 없지만, 가끔씩 진실이 사람에게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것 같다. 해가 우리에게 세상을 보여주는 것처럼. 이 세상의 모든 존재가 상대적인 것처럼, 모든 사람이 어느 정도 선하거나 악할 수는 있어도, 완전히 선하거나 완전히 악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람이 만드는 모든 것-내가 그리는 그림을 포함해서-은 선과 악이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것 같다. 그 사실을 정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선한 것을 악하게, 혹은 악한 것을 선하게 포장하는 것은 거짓이고, 그것은 TV나 잡지 등의 미디어나 엔터테인먼트는 물론 예술계에서도 자주 선호하고 있는 기만의 수법이라고 생각한다.
건축가 겸 화가인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이런 말을 했었다:
“모든 스타일은 거짓이다.(The styles are all lies.)”
나는 그의 말에 동의한다. 그래서 혼란스러울 때도 있다. 내 그림에도 역시 스타일이 있고, 어떻게 보면 모든 그림에는 스타일이 있는 것이 당연하다. 모든 미학적인 창작물에서도 스타일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혼란스러울 때 한가지 확실하게 하는 것은 스타일이 절대 알맹이보다 강조되지 않도록 노력한다. 스타일이 본질보다 강조되면 절대 아름다운 그림이 될 수 없으니까. 성형 수술을 해서 더 예뻐지거나 잘 생겨질 수는 있겠지만, 더 아름다워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스타일로 그림을 꾸민다면 미학적으로는 멋있어 보일 수도 있겠지만, 더 아름다워질 수는 없다. 아니, 오히려 더 추잡해진다고 생각한다. 아름다움은 눈으로만 인식하는 게 아니다.
그리고 아름다움은 항상 긍정적이거나 즐겁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인생에서 무의미하다 느낄 때는 괴로울 때가 아니라 오히려 너무 즐거울 때다. 그래서 사람들이 하는 ‘마음을 따라서 살아라’, ‘당신을 즐겁게하는 것을 찾아라’는 말은 별로 좋은 조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괴로움은 가끔 너무 힘들고, 벗어날 수 없는 굴레 같지만, 지난 후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위대한 잠재력이 있다. 아무리 힘든 상황이 닥칠지라도 좋게 대응할 수 있다면 오히려 아름다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괴로움 없이 즐거움을 제대로 경험할 수 있을까? 이런 점에서 인생과 마찬가지로, 아름다움은 상대적이다. 그림속의 색깔들과 요소들이 서로에게 상대적인 것처럼. 사람이라면 누구나 즐거운 상황을 즐기고 괴로운 상황에서 억울해할 수 있다. 그야말로 너무나도 뻔한 반응 아닌가? 그렇기에 괴로운 상황이라도 고결한 반응을 보여주고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은 정말 아름답다.
모든 사람은 본능적으로 진실을 찾고자하는 갈망이 있다. 무릇 진실은 찾기 힘들고, 거짓은 찾기 쉽도록 사회 전반을 에워쌓고있다. 때때로 진실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 수 있고, 괴롭게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진실은진정한 아름다움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우리가 진실을 찾고 싶을 때야 비로소 그 아름다움도 발견할 수 있는 것 같다. 아름다움은 진실이 표현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I.
The world of yesterday I anticipate, the world of today I do not understand, and the world of tomorrow I remember. In an attempt to escape the grasp of this world's influence, I aspire to remain humble while south of the river, yet I am a tiger without mountain, I am a fish out of water. In the spirit of worldliness you wait only for me, while I wait only for you, and they wait only for us. We wait amongst ourselves and have hardened towards one another. We are not friends but greet each other as such smiling warmly, and we stare at our mothers with cold eyes. This sentiment is of this world. This world is like yesterday. Yesterday it rained. It rained on the world but the rain cannot wet the ocean, which covers itself with heavy scales and breathes until it is the deepest blue. Blue sky, blue earth, red commonality, red nobility.
II.
Blue and black, red and cream, cream and black, black and blue. Flowers and fortresses, love and hate, light and darkness, white and red. Water and blood, water and death, death and time, time and eternity, past and future. Red and green, life and destruction, life and eternity, life and death. Blue and green, Sky and earth, sea and mountain, sun and moon, truth and lies, good and evil.
III.
There is nothing more beautiful than good, and nothing more ugly than evil. Yet modern society more and more portrays 'good' as uninteresting and lacking character, and has convinced people that 'evil' is attractive, intriguing and full of charm. Consequently, there are not many individuals who can recognize beauty. It is easily confused for prettiness, glamour or appeal. Beauty is not so much in the eye of the beholder - it is beyond what the eye can see.
The world is still black and white, especially in regards to morality. Absolute standards remain, whether acknowledged or not, and all efforts must be made to keep those standards no matt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Those standards define one's sense of truth in reality. Once standards are compromised, truth is not being redefined, but lies are being accepted. Many people offer good-willed encouragement with the words "open your mind" or "open your heart". Yet there lies a danger that such words taken in the wrong context can easily lead to accepting lies as truth. Once standards begin to be compromised, it is like riding in a car, and along with the car, objects of reference such as a tree begin to move, then signs and signal lights, and buildings and mountains as well. A person in the car will lose all sense of movement and direction - he/she will no longer be able to tell if they are moving forward or backward. Because points of absolute reference have been shaken.
You cannot look at the Sun, but you cannot see anything without it. In that sense, truth is like the Sun. A person cannot completely comprehend or realize truth in it's entirety, but the truth sometimes allows a person to see beauty. Like all existence in this world, a person has the potential to be good or evil in their actions and thoughts. A person cannot be absolutely good or absolutely evil. Likewise, anything a person makes, including the artworks I create, have a certain degree of good and a certain degree of evil within. If this is expressed honestly, then that is truthful. But if something good is expressed as evil, or something evil is disguised as good, then that is deceitful, and that is unfortunately in many cases the common product of TV, pop culture, the entertainment industry, mass media, and of course the art world.
The painter and architect Le Corbusier once said:
"The styles are all lies."
This is something I agree with and it has occupied my mind frequently. My paintings have a certain 'style', and it can be said that a painting cannot be without a style. No creative output can be without a style. For this reason I find this quote truthfully troubling at times, but one aspect which I can be sure of is that style must not be more emphasized than substance. It might be like getting cosmetic surgery - one might become prettier or better looking, but not more beautiful.
Beauty is also not always a positive thing. Meaningless in life comes not from an excess of pain and suffering. Meaningless in life comes from an excess of pleasure. So "follow your heart's desires", and "do whatever makes you happy" isn't such good advice. In the moment, suffering can be excruciating and you would wish for nothing more than for it to be over. But after the worst has passed, there is great potential to react truthfully, and to learn and expand oneself. In that case, the outcome is beautiful. In this sense, beauty is relative to its counterpart, ugliness. Like all the colors and subjects in a painting are relative to each other, and how all emotions, and good and evil relate to each other. Anyone can easily revel in a happy or pleasurable moment, and it is normal to grovel and become dejected amidst pain and suffering. But to be able to react positively and overcome tragedy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things in life.
All people instinctively desire truth, but it is hard to find. Lies are found much more easily, and completely envelop society. Lies can be comforting, while truth can cause very much discomfort and pain. But truth is beauty, and because people search for truth, they can sometimes see beauty. Beauty is the phenomenon which occurs when truth has been honestly expressed.